방중 일주일 앞두고 불만 표출
원자바오 "달러관리나 잘하라"
미국과 중국 간 총성 없는 환율전쟁이 자칫 전면전으로 치달을 양상이다.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은 취임 이후 첫 중국 방문을 일주일 앞두고서 위안화 환율 문제에 노골적으로 불만을 제기했다. 중국은 위안화 절상 압박을 가하지 말고 달러 가치나 잘 관리하라며 맞공격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9일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오는 17일 베이징 방문시 위안화 저평가 또는 조작 문제를 제기할 것이냐는 질문에 "중국 측과 광범위한 대화를 할 것이며 환율 문제가 제기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1월 티모시 가이트너 재무장관은 의회 인사청문회에서 "중국은 환율 조작국"이라고 언급했다가 중국 측으로부터 호된 반격을 받았다. 미 정부는 이후 가능한 한 위안화 환율 문제를 부각시키지 않았다. 재무부는 지난 10월15일 의회에 제출한 '국제무역 및 환율정책' 반기 보고서에서 중국을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하지 못했다.
하지만 오바마 대통령의 이날 지적은 무게감이 달랐다. 그는 "중국은 엄청난 달러를 보유하고 있다"며 "우리가 이런 문제를 풀지 못하면 정치 · 경제적으로 양국 관계는 긴장이 더해질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중국이 어려운 경제 시절 빈곤에서 탈출하기 위해 수출 주도의 정책을 사용한 것은 정당했다"면서 "이제 중국도 자신감이 늘어난 만큼 균형성장 달성에 더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산업계는 중국 정부가 인위적인 위안화 절하로 중국 제품의 수출 경쟁력을 높여왔다고 주장하고 있다. 미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는 위안화 가치가 달러에 대해 15~20% 정도 저평가돼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대해 중국 정부는 반격에 나섰다. 저우샤오촨 인민은행장은 10일 "유럽연합(EU)이나 일본 등이 제기하는 위안화 절상 요구는 그리 강하지 않다"고 말했다. 유독 미국만이 위안화 절상을 요구하는 게 비정상적이라는 뜻이다. 당분간 위안화 가치를 인위적으로 올릴 뜻이 없다고 밝힌 것이기도 하다.
중국인인 린이푸 세계은행 부총재는 "중국에 위안화 절상을 압박하지 말라"고 발언했다. 그는 홍콩대 연설을 통해 "위안화 절상만으로는 세계경제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으며 (오히려) 경제 회생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원자바오 총리는 9일 "중국이 보유한 달러 자산 가치 변동을 세심히 관찰하고 있다"며 "미국은 적자 관리를 잘 해서 환율을 안정시켜야 한다"고 역공했다.
전병서 교수 칼럼, <금값, 2000달러 갈까?>
http://stock.naver.com/research/pro_invest_read.nhn?expert_code=10&nid=334&page=1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IT Campus, Ssync
미국과 중국간의 화폐 전쟁 본문
금본위제에서는 금이 모든 가치의 척도였다. 제한적인 자원인 금이 기준 가치가 되는것이 합리적인 이유였다. 그러다 달러가 그 역할을 대신하면서 세계경제는 달러 중심의 경제가 되었다.
경제 체질은 괜찮은데 달러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IMF 환란을 맞이했던 한국은 어쩌면 이러한 달러 중심의 세계경제 매커니즘의 희생양이었다.
영어가 세계 국제무역의 표준어가 되고, 달러가 공식적인 유통화폐가 되면서 미국인들은 게을러지기 시작했다. 굳이 공장에서 힘든 일을 하지 않아도, 그들이 생각하는 고차원적이고 의미있는 일에만 매달려도 된다는 생각이었다. 국가의 부를 3차 산업과 고부가가치 산업에 집중하고, 나머지는 거의 OEM으로 개발도상국가 생산에 의존했던 것. 누군들 3D 일이 좋아서 할까?
미국 입장에선 달러가 부족하면 새로 인쇄하고 발행하면 그만이었다. 누적적인 재정적자를 메꾸기 위해 간헐적인 전쟁과 군수산업을 통한 국부 창출. 그러나 그것도 매번 성공하진 못했고. 누적된 피로가 몸살로 이어진게 작년말의 세계금융위기였던거 같다.
재밌는 기사가 나왔다. 그야말로 화폐전쟁이다. 아직 읽진 못했지만 중국 작가가 쓴 <화폐전쟁>이라는 책이 있다. 이젠 국가의 서열이 화폐의 가치로 매겨지는건 아닌지 모르겠다. 달러가 이미 기축통화로써 가치를 상실했기 때문에 (그렇게 찍어대는데 기축통화로 계속 역할하는것도 우습지 않은가?) 이제 세계는 특정 국가의 단일 화폐를 절대로 인정하지 않을것이다. 금값이 천정부지로 솟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고.
두 강대국의 화폐전쟁을 지켜보면서 우리는 양다리와 적당한 줄타기를 잘하면 그만 아닐까?
좀 더 개인적인 관심사로는 재테크의 좋은 수단이 될 수도 있을거다.
기사 하단의 칼럼은 중국전문가 전병서 교수님(전 한화증권 전무, 중국 교수, 복단대 MBA)의 관련 글이다.
[한국경제신문] 2009년 11월 10일(화)
경제 체질은 괜찮은데 달러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IMF 환란을 맞이했던 한국은 어쩌면 이러한 달러 중심의 세계경제 매커니즘의 희생양이었다.
영어가 세계 국제무역의 표준어가 되고, 달러가 공식적인 유통화폐가 되면서 미국인들은 게을러지기 시작했다. 굳이 공장에서 힘든 일을 하지 않아도, 그들이 생각하는 고차원적이고 의미있는 일에만 매달려도 된다는 생각이었다. 국가의 부를 3차 산업과 고부가가치 산업에 집중하고, 나머지는 거의 OEM으로 개발도상국가 생산에 의존했던 것. 누군들 3D 일이 좋아서 할까?
미국 입장에선 달러가 부족하면 새로 인쇄하고 발행하면 그만이었다. 누적적인 재정적자를 메꾸기 위해 간헐적인 전쟁과 군수산업을 통한 국부 창출. 그러나 그것도 매번 성공하진 못했고. 누적된 피로가 몸살로 이어진게 작년말의 세계금융위기였던거 같다.
재밌는 기사가 나왔다. 그야말로 화폐전쟁이다. 아직 읽진 못했지만 중국 작가가 쓴 <화폐전쟁>이라는 책이 있다. 이젠 국가의 서열이 화폐의 가치로 매겨지는건 아닌지 모르겠다. 달러가 이미 기축통화로써 가치를 상실했기 때문에 (그렇게 찍어대는데 기축통화로 계속 역할하는것도 우습지 않은가?) 이제 세계는 특정 국가의 단일 화폐를 절대로 인정하지 않을것이다. 금값이 천정부지로 솟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고.
두 강대국의 화폐전쟁을 지켜보면서 우리는 양다리와 적당한 줄타기를 잘하면 그만 아닐까?
좀 더 개인적인 관심사로는 재테크의 좋은 수단이 될 수도 있을거다.
기사 하단의 칼럼은 중국전문가 전병서 교수님(전 한화증권 전무, 중국 교수, 복단대 MBA)의 관련 글이다.
오바마 "중국 가서 위안화 문제 따질 것" …환율전쟁 전면전
[한국경제신문] 2009년 11월 10일(화)
'중국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바마의 아시아 3개국 방문일정의 차이, 그 이유는? (0) | 2009.11.19 |
---|---|
한국과 중국 삶으로 비교해보니 (2) | 2009.09.30 |
연변과기대 소식 - 기부자를 찾습니다 (2) | 2009.09.03 |